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장대건 (Daekun Jang) (Jang, Daekun)

본명:Daekun Jang

최근작
2014년 4월 <장대건 - Historia>

장대건 (Daekun Jang)(Jang, Daekun)

이 시대 세계 기타 음악계를 이끌어갈 연주자로 평가받고 있는 기타리스트 장대건은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기타리스트뿐 아니라 음악가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 현존 최고의 기타리스트이자 교육자인 오스카 길리아는 장대건에 대하여 그 세대 가장 훌륭한 기타리스트라는 찬사를 하였고, 안드레스 세고비아 이후 21세기 기타 음악사의 최고의 스승으로 유명한 호세 토마스는 장대건에 대하여 기보된 음악에 생명을 불어넣는 시적인 감상과 궁극의 테크닉을 지닌 현시대 가장 유망한 기타리스트로 주목하기도 하였다.

1997년 유네스코 국제 콩쿠르 연맹에 가입된 세계적인 콩쿠르인 스페인의 마리아 카날스 국제 콩쿠르 기타 부문에서 3위에 입상함으로써 크게 주목받았다. 메이저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한 것은 한국 기타 연주계 사상 초유의 일이었다. 이후 2003년까지 루이스 밀란 국제 콩쿠르(스페인), 쿠쿨칸 국제 콩쿠르(멕시코), 사라우츠 국제 콩쿠르(스페인)에서 우승했고, 그 외에도 훌리안 아르카스 국제 콩쿠르(스페인), 페르난도 소르 국제 콩쿠르(이탈리아), 타레가 국제 콩쿠르(스페인), 기타의 봄 국제 콩쿠르(벨기에), 코리아 국제 콩쿠르(스페인), 푸엔테 헤닐 국제 콩쿠르(스페인), 발렌시아 국제 콩쿠르(스페인), 알함브라 국제 콩쿠르(스페인), 안드레스 세고비아 국제 콩쿠르(스페인), 세르난셀레 국제 콩쿠르(포르투갈) 등 20여 국제 대회에서 입상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단기간에 그렇게 많은 콩쿠르에서 입상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그의 화려한 수상 경력은 비단 개인적인 영예일 뿐 아니라, 한국 기타리스트의 음악성을 세계에 알리는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으며 더 나아가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

연주활동도 왕성하다. 지금까지 스페인 전 지역을 포함하여 이탈리아, 독일,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스위스, 벨기에, 러시아, 미국, 멕시코, 일본, 한국 등지에서 초청 순회 연주를 하였다. 솔리스트 활동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활동도 눈부시다. 해외에서는 러시아 크라스노야스크 국립 필하모닉, 멕시코 시티 심포니, 스페인 유로파 메디테라네아 심포니, 스페인 산타 세실리아 심포니, 스페인 국영방송 오케스트라, 스페인 밀러늄 심포니, 루마니아 바카우 필하모닉, 이탈리아의 이무지치 등과 협연하였고 국내에서는 서울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부천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유라시안 필하모닉, 서울바로크합주단을 비롯한 대부분의 메이저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특히, 2009년 2월에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마드리드 국립 음악당 심포니 홀에서 열린 호아킨 로드리고 서거 10주년 추모 음악회에서 산타 세실리아 오케스트라와 로드리고의 대표 작품인 아랑훼즈 협주곡을 성공리에 협연하여 당시 큰 화제를 모았다. 스페인의 국민음악가 로드리고 서거 10주년 추모 음악회라는 의미 있는 자리에서 스페인 출신 기타리스트가 아닌 한국 출신 기타리스트 장대건이 협연을 했다는 것은 엄청난 이슈이자 이례적인 일이었다. 2011년 8월에는 세계적인 첼리스트이자 지휘자로 활동적인 장한나의 지휘로 앱솔루트 클래식 개막공연에서 로드리고의 아랑훼즈 협주곡을 연주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실내악 활동에도 꾸준한 관심이 있는 그는 바이올린, 첼로, 플루트, 성악, 현악사중주 등과의 다양한 악기와 함께 연주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2년 세계 최정상급의 실내악단인 이무지치와의 협연, 2013년 야나첵 현악사중주단과의 성공적인 협연으로 기타라는 악기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국제적인 실내악 페스티벌인 대관령 국제음악제에 기타리스트로는 처음으로 초청받아 연주하였다.

재능있는 후학들을 양성하는 일에도 정성을 쏟고 있는 그는 멕시코 라몬노블레 국제기타페스티발,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기타페스티발,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필하모닉 국제페스티발, 스페인 아스토르가 국제음악제, 투이 국제기타페스티발, 리카르드 칙 국제기타페스티발, 발라게르 여름음악제, 마드리드 헤타페 국립음악원, 레리다 국립음악원, 살라망카 국립대학교, 미국 멤피스 대학교,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음대 등에서 초빙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한국종합예술학교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심사위원 활동도 주목된다. 스페인 아스토르가 국제 음악제에서 기타 콩쿠르를 주관, 심사했고, 그 외에도 대전국제기타페스티벌 콩쿠르, 스페인 산아나스타시 기타콩쿠르, 스페인 바예데에구에스 국제기타콩쿠르, 스페인 그레도스 산디에고 국제기타콩쿠르, 스페인 루이스 밀란 국제기타콩쿠르,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국제기타콩쿠르, 미국 멤피스 국제기타콩쿠르, 멕시코 라몬노블레 국제기타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다.

장대건의 연주는 스페인 국영 텔레비전인 TV 2, Canal 9, Canal Sur, Canal Castellon, Radio 2 Classica, 이탈리아 국영 라디오 텔레비전인 RAI 1, 한국의 KBS 예술극장, 클래식 오디세이,한밤의 문화산책, SBS 나이트라인 문화초대석, 컬쳐클럽, MBC 문화사색, TV예술무대, OBS 특집, Arte TV, 아리랑 TV 등에서 방영되기도 했다.특히 2013년 6월 해외에서 성공한 한국인의 위상을 보여주는 KBS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글로벌 성공시대에 <스페인을 사로잡은 클래식 기타리스트, 장대건> 편이 방송되어 큰 화제를 모았고 2013년 8월 아리랑TV의 간판 토크쇼 <더 이너뷰>에서도 장대건의 활약상을 조명하는 내용을 조명하여 음악가로서의 장대건의 위상은 더욱 확고해 지고 있다.

장대건은 스페인 바르셀로나 리세오 왕립음악원 그리고 에스콜라 루티에르에서 마누엘 곤살레스와 공부하고 알리칸테 고등 음악원에 수석으로 입학하여 세고비아의 후계자인 세계적인 명교수 호세 토마스한테 배우고 1997년에 졸업하였다. 같은 해 스위스 바젤 음대 최고 연주자 과정에 입학, 또 다른 세고비아의 후계자이자 기타계의 최고 교육자로 손꼽히는 오스카 길리아의 지도를 받고 최고 연주자 과정 졸업 학위인 솔리스텐 디플롬을 받았다. 또한 전설적인 거장 세고비아의 직계 제자인 호세 토마스와 오스카 길리아의 유일한 한국인 제자이다. 또 졸업하기까지 고음악 학교인 스위스 바젤 스콜라칸토룸바실리엔시스에서 고음악 탄현악기 연주자 피터 크로톤에게 바로크 통주저음과 르네상스 탄현악기 연주법을 배우고, 고음악부터 현대음악까지 모든 장르의 음악에 대한 세미나 및 마스터 클래스 과정을 레온하르트, 슈나이더, 아리아가, 스미스, 쿠르탁 등 저명한 대가들로부터 이수하였다.  

대표작
모두보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